본문 바로가기
자기계발

행동경제학

by 리포트엔젤 2022. 4. 21.
반응형

행동경제학


심리학의 일부분인 학문이며 이러한 행동이 실제로 우리의 경제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는 학문인 행동경제학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행태경제학으로 읽히기도 하며 경제 평론가들이 자주 경제문제를 다룰 때 자주 인용하는 단어 이기도 합니다.


개요


행동주의 심리학의 방법론을 통하여 경제학에 영향을 미치는 이론입니다.
입증할 수 있고 실제로 드러나는 주체의 의도와 행위를 대상으로 삼으며 행동 과학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경동 경제학은 비주류 경제학에 속하기도 했으나 1990년대 이후 주류 경제학으로 편입되면서 경제학의 세부분야가 되었고 우리나라에서는 인지도가 낮은 반면 국제적으로는 이미 주류 경제학으로 들어가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미시경제학과 상당히 밀접한 연관이 있으며 인간의 행동 향상이 미시 이론에 기반되는 인간 선택의 합리성을 건드리기 때문입니다.


행동


행동경제학은 기존에 경제학에서 가정하고 있던 합리적인 인간이라는 가정을 공격하며 현재까지는 '합리적인 인간'이라는 가정과 반대되는 사례들의 일부를 소개하고 연구하고 있다.

  • 전망 이론
  • 현상유지 편향 : 자신이 내린 선택에서 벗어나지 않으려 하는 경향.
  • 공정성 선호 : 합리적인 상대방과 반대로 행동하려 하는 경향.
  • 현재 편향 : 쌍곡 할인이라고도 하며 현재부터 어느 시점까지의 할인율을 가지고 소비자의 심리를 파악하는 경향.
  • 등 이 외에도 수십여 가지의 편향이 관측되고 연구되어가고 있다.

한계


행동 경제학은 등 모든 이론들은 이론을 바탕으로 전혀 다른 상황이 주어져도 높은 확률로서 현상을 예측할 수 있어야만 하지만 현재까지 연구하여 밝혀진 사실들은 기존 이론들이 많은 다양한 상황들에서 잘 성립되지 않으며 그게 일관적일 뿐이다.
기존 내용들을 바탕으로 지금의 이론을 어떤 방향으로 수정한다거나 전혀 다른 상황과 새로운 상황들까지 포함되는 이론을 밝여 내야 하지만 이간의 생동의 비합리성이 쉽게 포착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실제 주류 경제학의 이론에 입각한 예상은 실질적 데이터와 더 잘 맞는 편입니다.
연구에 따르면 주류 경제학자들의 펀드 수익률이 행태 경제학자들의 펀드 수익률 보다 높다는 통계가 결과가 있습니다.

반응형

'자기계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동산경제학  (0) 2022.04.21
정보경제학  (0) 2022.04.21
경영학과 경제학 연관관계  (0) 2022.04.21
국제경제학  (0) 2022.04.21
미시경제학과 거시경제학  (0) 2022.04.21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