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경제학
우리 생활에서 땔 수 없는 부동산에도 경제학이 존재합니다. 모든 건 경제활동에 포함되며 그 안에서도 학문이 존재하기 마련입니다.
부동산경제학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개요
부동산의 가치가 사람과 사람의 행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하는 학문입니다.
경제원칙은 이용하여 국가. 지역, 인근 지역 현상 등 이 부동산 가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고, 부동산과 관련된 경제지식을 체계적으로 모아 실무활동 및 구축을 지원하려 하는 기초연구분야의 하나입니다.
토지경제학이나 주변 과학의 지원은 부동산 경제학 체계의 큰 비중을 가지고 있으며 농촌 및 도시의 토지관리, 이용 등 모든 정책 및 문제에 경제학을 응용하는 형태를 다루고 있습니다.
토지경제학은 '토지를 중심으로 한 사람과 사람 사이의 경제적 관계를 다루는 학문이라고 롤리 브루스 발로우는 정의하기도 했습니다.
접근방법
미시적 접근법 : 부동산 입지와 수요자 간의 관계, 또 공급은 집중되고 잠재 수요는 분산되어 있는 것을 알아내는 것. 즉 경쟁 수요와 잠재 공급 함숫값을 알아내고 밝혀내는 행위를 말합니다.
거시적 접근법 : 부동산 시장에서 이율 등은 장기적으로 부동산 수요곡선을 변화시키고, 부동산 정책이나 규제나 대출 완화와 같은 금융공급은 시장을 자극하는 요인으로 단기적으로 작용합니다. 경제성장은 부동산 수요를 증대시키고 그와 함께 임대료 또한 상승하게 되며 즉 부동산 가격이 상승하게 됩니다. 이는 신규 개발 즉 수요를 자극시키고 새로운 공급으로 인해 재고에도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금융적 접근법 : 부동산 시장은 공공자본 시장에 대비해 거래에 대한 비용과 기간이 많이 소요되며 이 또한 개별적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물건에 대한 투명한 정보공유가 되지 않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연구영역
- 부동산 현상: 수요와 공급 분석.
- 부동산의 특성 : 토지와 자연적 자원, 경제적 개념의 통합적 성격을 가진다.
- 부동산 가격 : 목적에 의해 결정되는 가격. 시장가, 보험가, 투기가, 급매등.
- 수요-공급 이론 : 주거수요, 서비스 수요, 등 인구집중과 관련하여 토지수요가 높을수록 가격은 크게 영향을 받는다.
- 지대 이론 : 애덤 스미스는 건물값과 땅값을 분리했다고 한다. (내가 생각하는 가장 쉽게 생각하는 표현)
- 부동산 정책: 시장질서를 위해 정부에서 보완적이고 보조적 차원에서 최소한의 개입을 하는 것.
- 부동산세 이론 : 주택세, 토지세, 농지세, 상가세 등 세금이 해당.
- 자원의 배분
부동산은 수요와 공급이 있어야하며 그곳에 지어져야하는 명분이 분명이 존재해야한다.
그래야 많이 가격결정에 큰요인이 될 것이고 현재 부산이든 강남이든 집값의 급등락을 생각하며 공부를 하면
조금 빠르게 이해 할 수 있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