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경제학
경제활동에서 의사결정을 할 때에 변수로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생산요소 외에 정보가 포함되어야 하고, 이러한 정보가 가지고 있는 경제적의 미를 분석하는 정보경제학에 대해 간략하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개요
이 분야는 미시경제학의 한 분야로서 경제 주체자들 간에 서로가 가진 정보의 차이로 인해 어떠한 현상이 발생될 수 있는지에 초점을 둡니다.
이런 정보의 차이를 연구하는 것은 시장을 잘 설명할 수 있는 필수적인 수단이 되었고, 정보경제학 분야의 연구와 함께 금융경제학이나 노동경제학 등 많은 응용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시장이 정보의 비대칭성을 가지고 있으며, 그의 예로는 보험, 중고차, 플랫폼 및 네트워크경, 특허 경제 등이 정보경제학으로 좋은 예입니다.
주요 문제
역선택 문제 : 상대방에 대해 정확한 정보를 인지하지 못함으로 인해 자신이 원치 않는 상대방과의 거래가 이루어질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는 현상을 말합니다.
역선택은 경제활동의 의사결정 이전에 상대방의 의도를 파악하지 못하였으므로 합리적 소비를 할 수 없는 상황을 말합니다.
도덕적 해이 : 보험시장에서 최초에 사용하게 되었으며 예를 들어 자동차보험에 가입한 가입자가 자동차사고가 난경유 입원비나 합의금을 두둑이 챙겨준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을 때 자동차 사고에 예의주시 하지 않고 사고를 낼 수 있는 여지를 발생시켜 사고가 발생한 후 보험을 이용하여 이득을 취하는 것과 같은 개념입니다.
통계적 차별 : 기업이 직원을 채용하는 과정에서 개인의 생산성이나 성향을 예측할 수 없기 때문에 개인의 눈으로 확인 가능한 자료, 자격증, 입사시험, 학점, 외모 즉 스펙을 가지고 선별을 하게 됩니다.
관련 직업군
한국은행, 행정고시, 7급 공무원 등 경제분야 공무원.
헤드헌터, 잡서치, 감정평가사 등 전문적인 경제인.
대학교수, 연구 원 등의 경제학자.
증권투자상담사, 선물거래상담사, 은행 FP, 증권 FP, AICPA 등 은행과 증권 혹은 신용평가 회사 관련 업무.
세계은행, IMF 등 국제경제와 관련된 기관.
학문은 원래 어렵고 복잡하게 풀이되어 있다.
하지만 우리 일상 속의 경제활동에 대입하여 이해해 본다면 그리 어려운 학문도 아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