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기계발

경영학과 경제학 연관관계

by 리포트엔젤 2022. 4. 21.
반응형

경영학과 경제학 연관관계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경영학과 경제학에 대해 혼동하거나 잘 모릅니다.
경영학과 경제학이 매우 유사한 학문이다라고 하거나 경제학을 기업에 대입시키면 경영학이다 등 함께 접목한 인식들이 널리 퍼져있고 여러 가지 의견들이 존재하고 있습니다. 이 두 학문을 연관 짓고 있는 몇 가지 이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이론

  • 경영학의 경영전략론과 경제학의 기업이론 .
  • 차이점: 경제학에선 기업을 단순한 모형으로 만들어 다루며 기업활동으로 만들어지는 시장의 전반적인 현상을 중요시 여깁니다.
  • 반면 경영학에서는 기업의 활동분야를 여러 가지로 나누고 심층적으로 연구하며 전체 시장보다는 개개인의 기업들이 사용하는 세부적 전략을 중요시 여기고 있습니다.
  • 공통점: 경영학의 기업론이 대부분 미시경제학에서 비롯되었으며 신고전학파에서 파생된 기업론에서는 생산비용의 최소화/최적화를 위해 탄생, 거래 바용에서 파생된 기업론에서는 시장 조정비용의 최소화를 위해 탄생하였다고 보고 있습니다. 기업론과 경영전략은 경제학 이론에서 모두 근거해 있습니다.
  • 미시경제학의 소비자이론과 마케팅의 소비자행동론.
  • 차이점: 소비자행동론과 소비자이론 모두 가계의 행동을 연구합니다. 하지만 접근방식에서 차이를 두고 있으며 마케팅은 고객의 실질적 행동을 측정하여 확실한 고객의 니즈를 파악하고 분석합니다. 소비자이론에서는 소비자와 기업의 행동을 추상화된 이론으로 만들며 소비자들의 권리와 기업이익을 중재하고 있습니다.
  • 공통점: 소비자이론의 최적 선택이론과 선호 체계 이론에 의거해 소비자행돈론에서 많은 소비자들의 의사결정을 파악하고 분석한다. 소비자행돌론의 경제학의 소비자이론의 응용화 된 것이라 볼 수 있습니다.
  • 미시경제학의 생산요소시장과 경영학의 생산관리.
  • 차이점: 두이론 모두 B2B 시장에서 기업 간의 거래를 연구하고 있습니다. 다만 구매자나 판매자가 이윤 극대화를 위해 서로를 속이고 설 등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생산요소 시장론에서는 시장의 크기를 키우기 위해서 구매자와 판매자가 투명하게 정보를 공유하도록 유도하고 있습니다.
  • 공통점: 생산관리에서 여러 가지 생산요소의 가격을 파악하고 분석하는 것은 경제학의 영향이 강하게 보이고 있습니다.
  • 기업 재무관리와 금융경제학은 거의 같은 한 분야이다.

정리


경제학과 경영학의 세부사항을 들여다보았을 때 여러 가지 차이점이 분명 존재하지만, 경영학의 근본적인 이론의 전개와 밑바탕에는
경제학을 두고 있습니다.

반응형

'자기계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보경제학  (0) 2022.04.21
행동경제학  (0) 2022.04.21
국제경제학  (0) 2022.04.21
미시경제학과 거시경제학  (0) 2022.04.21
경제학  (0) 2022.04.2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