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시경제학
오늘은 경제학의 한 분야인 미시경제학에 대해 알아보려 합니다.
너무 깊게 이해하려 하지 않아도 가볍게 개념 정도만 이해고 알고 있으면 경제 흐름을 읽는데 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개요
거시경제학과 함께 경제학을 이루는 주요 요소로서 가계와 기업 등 개별 경제 주체들의 행위와 영향에 의한 가격, 기업 매출, 독점, 저축, 가계소득 등 각 시장의 구조에 균형점이 어떻게 결정되고 형성되는지를 설명하는 경제학의 일부분인 학문입니다.
학문
미시경제학의 방법론 상호관계 속 사실에서 틀어진 사실들의 질서를 파악 악하고 그것을 의미 있는 방법으로 정리하려 하는 작업을 논의하는 것을 경제학에선 방법론이라고 합니다.
방법론 외에도
- 게임이론
- 정보경제학
- 산업조직론
- 후생경제학
- 재정/공공경제학
- 노동경제학
- 법경제학
- 행동경제학
- 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거시경제학의 개요
국민소득에 입각하여 소비, 저축, 투자 등 집계량을 기준으로 국민소득의 결정을 논의하는 경제학의 한분 야입니다.
거시경제학은 크게 경기변동론이 80%, 경제성장론이 20%로 나눌 수 있으며 우리가 생각하는 금융이론을 주로 경기변동론 또는 성장론에서 다루어집니다.
학파
거시경제이론은 크게 두 가지 체계가 대립한다.
하나는 미시경제의 마칠 이 없는 상태를 기본으로 거시경제학에 접근하여 시장이 무리함 없이 돌아가고 있다고 보는 고전학파 계열입니다.
다른 하나는 미시적으로 파악한 대포적인 개인의 거동은 불완전경쟁, 조정 실패, 비대칭 정보 등의 이유들로 거시 집계 변수의 거동과 일치한다고 볼 수 없다는 케인즈의 아이드 어를 이어받은 케인즈 학파 계열입니다.
거시경제학이 생긴 후부터 양자 대립은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최근에는 동태적 최적화, 장기적으로는 완전한 시장 등에 대해 합의를 이룬 것으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양자 주장에 대해 서로 동의하는 부분이 많아지고 있는 추세입니다.
글을 풀어 설명하면 어려워 보이나 미시경제학은 경제 주체를 다루는 반면 거시경제학은 국민소득의 결정에 미치는 학문이라고
이해하면 쉬울 것 입니다.
댓글